치아의 형태 및 특징2
치과 Dental

치아의 형태 및 특징2

allismo 2022. 8. 4.

3. 치관에서의 볼록한 부위

1) 교두 (cusp)

구치부 교합면에 돌출한 융기부위 (prominence, convexity, elevation) 로서 결절보다는 돌출정도가 크며 교두에서 가장 도출한 부분을 교두정( cusp tip, crest),이라한다.

대부분으이 소구치는 2개의 교두를 갖고 있으나 하악제2소구치는 2~3개의 교두가 있으며 상악제1대구칭는 4개의 교두, 하악제1대구치는 5개의 교두를 갖고 있다.

2) 첨두 (tip of cusp)
견치의 절단에 존재하는 돌출부이며 첨두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근 원심경 중앙에서 약간 근심측에 있다.

3)결절(tubercle)

법랑질의 추가형성에 의해 치관에서 관찰되는 작고 둥근 돌출불이며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다.

(1) 절단결절(mamelon)

절치의 절단에 작고 둥근 법랑질의 융기된 돌출부이며 처음 맹출시에는 분명하게 나타나나 곧 교모되어 없어진다.

(2)설면결절(cingulum)

전치 설면의 치경1/3 부위 나타나는 돌출부를 말하며 가장 돌출된 정점은 약간 원심에 위치한다.

(3)개재결절(terra"s tubercle)

상악제1소구치 교합면의 근심변영융선상에 나타나는 부가적 소결절이다.

(4)카라벨리결절(carabelli's tubercle)

상악제1대구치 근심설측교두의 설측에 나타나는 이상결절로서 제5교두라고도 하며, 상악제1대구치가 가장 뚜렷하고 상악제2유구치에서도 나타난다.

(5)후구치결절(distomaolar tubercle)

상악 제3대구치의 원심측에 나타나는 이상결절이다.

 

4)엽(lobe)
치관의 발육에 의해 형성된 1차 구조물의 기본단위이며, 엽이 모여서 치관이 형성되고 엽들의 경계부위는 발육구(developmental groove)가 된다.

전치와 대부분의 소구치는 순(협)면 3개, 설면에 1개의 발육엽으로 이루어지며 3교두형의 하악 제2소구치는 협면에 3개 설면에 2개의 발육엽(developmental lobe)을 형성한다.

대구치는 교두의 수가 곧 발육엽의 수로써 상악제1대구치는 4개의 발육엽, 하악제1대구치는 5개의 발육엽을 갖고 있다.

5) 극돌기 (spinus process)

설면결절에서부터 절단연을 햐하여 나오는 작은 돌출부로서 통상 상악 전치부위의 설면에 존재하며 , 특히 상악 중절치 설면에는 1~3개 정도 있다.

6)융선(ridge)

치면에서 나타나는 선상의 돌출부위이며 위치에 따라 명칭이 불려진다.

(1) 변연융선(marginal ridge)
전치의 설면 구치의 교합면에서 근심연과 원심연에 존재하는 융선이다.

전치 및 구치 -> 근심변영융선과 원심변연융선이 있다.

(2)삼각융선(triangular ridge)
구치의 교두정에서 교합면의 중시을 향해 내려오는 삼각형 모양의 융선으로 명칭은 그 위치에 따라 협측 삼각융선, 설측삼각융선 등으로 불려진다.

(3)횡주융선(transverse ridge)

협측삼각융선과 설측삼각융선이 마주보고 연결되는 연합융선이다.

(4)사주융선(obilque ridge, diagonal ridge 대각융선)
협측삼각융선과 설측삼각융선이 비스듬하게 연결되는 연합융선이다.

(5)설면융선 

견치 설면의 첨두에서 치경부로 향하는 돌출된 융선이다. 

 이 융선으로 근원심 설면와로 나뉜다.

(6)교두융선(cusp ridge)
구치의 각 교두정에서 근심,원심,협측,설측으로 주행하는 융선을 말하며 그 명칭은 주행하는 방향에 따라 불려진다.

(7)접촉부위(contact area)
치관의 인접면에서 가장 돌출되어 인접치아와 만나는 부위

 

4.치관에서의 오목한 부위

1) 구(groove)
교두와 교두,융선과,융선, 엽과 엽, 교두와 융선 사이의 함몰붕이며, 발육구,부구 및 삼각구가 있다.

(1) 발육구 (debelopmental groove)
치아의 발육엽에 의해서 생긴 구로서 교두와 교두사이, 융선과 융선사이에 존재하며 명칭은 위치에 따라 불려진다.

(2) 부구(secondary groove)
발육구에서 부가적으로 나타나는 얕은 선상의 구로서 발육구보다는 선명하지 않고 부구의 수나 위치는 일정하지 않다.

(3)삼각구 (triangular groove0
삼각융선과 변영융선 사이에 있으며 소와에서 협설쪽으로 삼각형의 두 변과 같이 뻗어나가는 선상의 구이다.

 

2) 와 fossa

치아 표면에 있는 불규칙한 원형이나 삼각형 형태의 오목한 부위이다.

(1) 설면와 (lingual fossa)

전치의 설면에 생긴 오목한 함몰 부위로서 견치는 설면융선에 의해 근심설면와 원심설면와로 나뉜다.

(2)중심와(central fossa)

구치의 교합면 중심에 있는 오목한 함몰부위이다.

(3)근심와 (mesial fossa)

구치의 교합면 근심에 있는 오목한 함몰부위이다.

(4)원심와(distal fossa)

구치의 교한면 원심에 있는 오목한 함몰부위이다.

 

3)소와(pit)

와에서 발육구가 만나거나 끝나는 위치에 점상으로 가장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다.

(1)중심소와 central pit 

근심소와 원심소와 협면소와

 

4)교두간강

구치의 교합면에서 협측교두와 설측교두 사이에 넓은 함몰부위이며 구, 와 소와를 포함하고 있다.

+ 치간공극 (embrasure)

 

5.치근의 형태

치근은 치아에서 백악질로 덮여 있는 부분으로, 치조와 alveolar socker속에 있으면서 치아를 악골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치근은 치근경 치근체 치근첨의 세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치근은 법랑질과 백악질의 경계 부위인 치근경 cervix of root)
치근의 가장 끝부분인 apex of root 치근첨에서 치경부까지의 body of root로 구분할 수 있다. 치근은 치근경에서 굵고 치근첨으로 갈 수 록 가늘어지며 근원심이나 협 설로 압편된 원추형이다. 일반적으로 치근첨은 원심으로 경사되어 있다.

 

1) 치근 수에 따른 분류

치아에 따라 1~3개의 치근을 가지게 되는데 치근 수에 따라 분류한다.

 

(1)single root

치근이 한개인 치아로 상 하악전치와 상악 제1소구치를 제외한 소구치 및 유전치가 여기에 속한다.

(2) double root

치근이 두 개인 치아이며 상악제1소구치하악대구치,하악유구치가 여기에 속한다. 그런데 상아게1소구치는 치근이 협측과 설측으로 분지되고 하악대추와 하악 유구치는 근원심으로 분지된다. 협측근이 설측근보다 근원근이 원심근보다 발육이 좋다.

(3)muitiple root

한개의 치관에 치근이 세 개 이상인 치아로 상악대구치와 상악유구치가 여기에 속한다.

협측에 2개 설측에 1개의 치근으로 분지되며 협측의 치근은 근심과 원심방향으로 갈라져 있다. 설측근이 가장 길고 발육은 설측근, 근심협측근, 원심협측근의 순서로 양호하다.

 

2) 치근관(root canal)의 분류

치근관은 치근의 내부에 있는 치수강 부분으로 치근의 외형과 비슷한 모양을 하며 치근관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이렇게 나뉜다

(1) simple root canal 

한 개의 치근 소게 한 개의 치근관과 한개의 치근첨공이 있는 것이다.

(2) divided root canal

한 개의 치근 속에서 치근관이 갈라져 있는 것

-완전분치치근관 (complete divided root canal)

치근관을 통해 완전히 분지되어 두개의 치근관과 두 개의 첨공이 있는것

-불완전분치치근관 (Partially divided root canal)
치근관이 분지하여 두개의 비슷한 크기의 치근관이 점차적으로 합쳐져 한개의 치근관이 되어 하나의 치근첨공이 있는것

-측지 치근관 (lateral root canal)
치경부와 치근단에 가까운 치근관에서 직각에 가깝게 갈라져 있으며 치근의 바깥쪽으로 미세혈관이 존재한다. 주로 치근단 부분에 많이 나타난다.

'치과 Dent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28일 뉴스  (0) 2022.08.29
8월28일 오늘의 경제뉴스  (1) 2022.08.28
치아의 형태 및 특징-1  (0) 2022.08.02
치아의 종류  (0) 2022.07.30
치아의 구성조직 및 주위조직  (0) 2022.07.26

댓글

💲 추천 글